박지성선수는 왜?



가끔씩 축구대표팀의 경기를 보면, 너무 답답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계속 찬스를 놓치는 모습을 보고있으면, ‘저건 나라도 넣겠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런 답답한 경기내용에도 불구하고 박지성 선수는 정말 펄펄 날아다니며 찬스를 만드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러면 박지성선수에게 여러 가지 포메이션을 다 맡기는게 좋지않을까요? 왜 박지성선수는 미드필더 포지션만 고수하는 것일까요? 이는 비교우위라는 경제학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자, 미드필더인 박지성과 수비수인 조용석이 있다고 합시다. 그들이 축구를 얼마나 잘하는지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지요.

비고

미드필더 포지션

수비수 포지션

박지성

100

7/10

70

10/7

곰돌이

60

2/3

40

3/2

*<표1-5>박지성과 조용석의 포지션별 경기당 편익

표에서 빨간색 숫자를 보면, 박지성이 미드필더와 수비수를 할 때 모두 곰돌이보다 잘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경제학에서는 박지성이 미드필더를 할 때와 수비수를 할 때 모두 1)절대우위를 지녔다고 합니다.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뜻이지요. 그러나 기회비용을 고려해 봅시다. 미드필더와 수비수의 포지션을 맡을 때 각 선수의 기회비용을 나타내 보면 파란색 숫자와 같습니다. 이제 다시 한번 표를 보면 뭔가 감이 올 것이다. 박지성이 미드필더를 할 때의 기회비용은 7/10으로 곰돌이의 2/3보다 작지만, 수비수를 할 때는 10/7으로 곰돌이의 3/2보다 커지지요. 따라서 박지성이 곰돌이를 벤치로 들여보낸 다음 혼자 다 하는 것 보다는 답답하더라도 꾹 참고 곰돌이에게 수비수를 시키는 편이 낮다는 것입니다. 이를 보고 곰돌이은 박지성보다 수비수 포지션에 2)비교우위가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슬프게도 우리는 계속 박지성을 미드필더로 곰돌이을 수비수로 기용하며 답답해해야 합니다.

이러한 비교우위는 국제적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논거로 쓰이곤 하지요. 미국과 한국의 FTA에서 미국이 농업과 제조업에 모두 절대우위가 있지만, 비교우위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이 제조업에서 더 유리하여 각자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에 특화하면, 둘 모두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과연 비교우위에 있는 제조업을 선택하며 포기한 농업의 기회비용이 제조업 만일까요? 식량안보의 위협역시 기회비용으로 생각해야 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1) 절대우위-생산에드는 비용이 절대적으로 작은 경우

2) 비교우위-생산에드는 기회비용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