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나를 완벽하게 만들어

조커와 드 클레랑보 신드롬



<다크나이트>의 조커가 기억나시나요? 극 중 내내 행동원리가 전혀 없어 보이는 조커의 단 하나의 행동원칙은 '배트맨'을 쫓는 것이지요. 배트맨에게 '너 없이 내가 뭘 하겠어?'라고 하며, 심지어는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라도 배트맨의 원칙을 깨고 싶어 합니다. 그러면서 '저들에게 너는 괴물이야, 나와 같은.' 이라며 배트맨 역시 자신과 동류임을 확신하지요. 배트맨이라는 대상이 자신에게 집착한다고 믿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사회적 명망, 권력, 재산이 있는 남성이 자신과 사랑에 빠졌으며, 심지어는 그들이 먼저 자신을 사랑했다고 믿는 드 클레랑보 신드롬의 일종입니다. 언뜻 보면 스토킹과 비슷하지만 스토킹이 자신의 애정의 대상의 의견에 관계없이 무조건적인 애정을 보낸다면, 드 클레랑보 신드롬은 상대가 나를 사랑한다는 확고한 믿음이 있
다는 것이 차이입니다. 심지어, 상대가 돌아봐 주지 않아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해도, 상대가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확신은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드 클레랑보 신드롬의 희생자, 조지 5세


 드 클레랑보 박사는 이 신드롬을 한 환자의 사례에서 발견 했습니다. 이 환자는 53세의 프랑스 여성으로, 영국왕 조지 5세가 자기를 사랑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녀는 심지어 궁전 창문의 커튼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그것을 왕이 보낸 신호로 해석했지요. 그녀는 그가 자기를 사랑한다는 것을 모든 영국인들이 알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녀는 호텔 예약을 하지 못했고 런던 현지에서 숙소를 잡을 수가 없었는데, 그 모든 것이 왕의 방해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또 왕의 초상화와 돈이 담긴 자신의 가방을 잃어버린 것도 그의 짓이라는 등 근거 없는 주장을 일삼았지요. 아래는 그녀가 한 말입니다.

"왕이 나를 미워하게 될지는 모르지만 절대 잊지는 못할 것입니다. 나는 결코 그에게 무관심할 수가 없으며 그도 나에게 그러합니다. 그가 내 마음에 상처를 주려고 하는 것은 부질없는 일입니다. 나는 마음 깊숙이 그에게 매혹당했습니다. 내 사랑은 비록 미쳤을지 모르나, 내 이성은 어서 정신을 차리고 그에게로 가서 사랑을 쟁취하라고 속삭입니다..."


 <다크나이트>의 조커도 이런 심리는 아니었을까요?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추구하는 가치관을 고담에 구현하려는 배트맨의 모습에서 화장을 하고, 고담에 혼란을 가져오려는 자신의 모습을 본 것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조커는 배트맨과 싸우다 건물에서 떨어지는 그 순간까지도, 배트맨의 원칙이 깨졌다는 생각에 웃음을 짖고, 또 다른 이가 배트맨의 존재를 밝히려 하였을 때 그를 죽이려 했지요. 조커는 아마 드 클레랑보 신드롬에 빠져 있지 않았을까요?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시간의 잡동사니의 문화 이야기]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놀라운 생명체의 생존 본능

가르시아 효과

 


 한 생쥐가 있습니다. 생쥐의 눈 앞에는 맛 있어 보이는 치즈가 있지요. 생쥐는 재빠르게 치즈의 곁으로 달려가 덥석  물어서 맛있게 먹었습니다. 그리고는 행복감에 젖어 잠시 누워있었지요. 그런데 연구원이 다가오더니 생쥐에게 전기 충격을 가했습니다. 생쥐는 아파하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다음날, 생쥐의 눈 앞에 어제의 그 치즈가 나타 났습니다. 생쥐는 과연 이 치즈를 먹을까요? 대답은 '아니다'입니다. 

 이렇게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일정한 인과관계를 학습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르시아 효과'라고 합니다. 실험에서는 전기 충격을 가했지만, 현실에서는 구토나 질병 등을 느끼면, 그 먹거리를 먹지 않게 된다는 것이지요. 단 한 번의 경험만으로 말이에요. 

 사실 파블로프의 개의 실험으로 유명한 고전적 조건화에서는 몇 번의 경험이 있어야 조건화가 일어납니다. 파블로프도 몇 번이고 먹이를 줄 때 벨을 흔들었지요. 하지만 가르시아 효과는 생존 본능으로 인해 단 한 번만의 경험으로도 조건화가 일어나지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