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축제가 낳은 비극의 역사

아즈텍 제국


2.   아즈텍, 정착하다

오랫동안 방황하던 아즈텍인들의 예언자, 테노크는 꿈을 꿉니다. 그들의 신은 그 꿈에서 아즈텍인들의 정착지를 점지해 줍니다.

독수리가 선인장 위에서 뱀을 먹는 곳, 그곳이 바로 너희들의 집이니라.”

아즈텍인들은 긴 방황 끝에 바로 그런 곳을 발견합니다. 하지만 그곳은 호수의 한 가운데에 있는 진흙섬이었죠. 아즈텍인들은 호수 근처의 진흙들을 긁어모아 평지로 채소밭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또한 다리와 수로도 만들었지요. 그리고나서 그 땅을 예언자 테노크의 이름을 따라 그리고 선인장의 땅이라는 뜻의 테노치티틀란으로 지었습니다.


아카마피치틀리 (출처: 위키백과)

 어느 정도 체제가 정비되자, 그들은 첫 번째 아카마피치틀리를 첫 번째 왕으로 삼게 됩니다. 아무리 사나운 아즈텍이라 하더라도, 당시 중앙아메리카의 최강이었던 아스카포찰코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그들의 지배를 받아들인 아즈텍족은 서서히 힘을 키워갑니다. 그러다 아스카포찰코의 새로운 왕이 독재적으로 통치하며 자신의 생각대로만 통치를 시작하여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합니다. 이 때, 아즈텍은 다른 종족들과 연합 하여 그들을 몰아내고, 주권을 완전하게 확립한뒤, 제국으로의 길을 걷게 됩니다.

 

3.   아즈텍, 지배하다


 아즈텍을 정말로 강대한 제국의 반열로 올려 놓은 것은 아즈텍의 9대 황제, 몬테수마입니다. 문명 V에도 군주로 등장하지요. 재밌게도 몬테수마 황제 시절에 크게 발달했던 식인 풍습을 반영하였는지, 문명에 등장하는 아즈텍의 고유 유닛은 적을 전멸시킬 때마다 체력을 회복합니다.

 그가 황제가 된 15세기의 중앙아메리카에는 수많은 자연재해들이 일어났습니다. 게다가 중앙아메리카에는 가축으로 삼을만한 동물들이 살고 있지 않았지요. 결국 이런 상황에서 몬테수마가 결정한 것은 종교식인을 통한 통치였습니다.

 종교를 통해 식인을 당연한 것으로 만든 뒤, 아즈텍인들에게 인육을 공급하여 민심을 얻은 것이지요. 하지만 인육이라는 게 어디 얻기 쉽습니까? 옆 나라에 놀러 가서  “저 고기 좀 돼 주실 수 있나요?” 라고 하면 반응이 어떨지 안 봐도 뻔하지요당시에 아즈텍은 카카오를 화폐로 이용했는데, 그 당시 인육을 사기 위해서는 현재로 치면 5,000만원에 준하는 카카오를 지불해야 했다고 하니, 그 희귀성을 알 수 있지요. 결국 인육을 얻기 위해서 몬테수마 끊임없는 정복전쟁을 하게 됩니다.

 목적이 정복이라기 보다는 인육공급에 있는 이 전쟁들은 그 목적성에 따라서

매우 특별한 형태를 띄었는데요, 이런 형태의 아즈텍의 전쟁 방식을 꽃 전쟁이라고 불렀습니다. 들리는 것과는 다르게 매우 잔혹한 이 전쟁은 상대방을 죽이는 것보다 부상을 입혀서 포로로 잡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화살이나 무기도 뭉툭한 날을 지닌 무기들로 부상을 입혀서 그들을 잡아 갔지요. 그리고는 가족처럼 잘 대해줬다고 합니다. 그러면 뭐합니까 잡아먹어 버리는데.

 당시의 기록에 따르면 몬테수마1세의 생일에 3일에 걸쳐 축제가 열렸는데, 이 때 황제의 배포를 보여주기 위해 포로들을 죽여 인육을 제공했는데 약 20~40만 명을 죽여서 인육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수도에 살던 인구가 25~30만 명으로, 당시 유럽에 비해서도 전혀 손색이 없을 정도의 대도시 였는데요. 1명당 거의 1명의 사람을 먹었다고 볼 수 있겠지요.

 이 뒤로도 아즈텍은 계속해서 중앙아시아의 거대한 제국을 유지해 갔습니다. 하지만 아즈텍의 전성기는 갑자기 끝나버리고 맙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알아 보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