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야기/악기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세계의 악기 소개(23) 하르모늄 세계의 악기 소개(23) 하르모늄 이번에 소개해 드릴 악기 역시 인도의 악기인 하르모늄입니다. 하르모늄은 인도가 영국의 지배를 받을 때 만들어진 악기이지요. 우리나라의 풍금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풍금이 발로 밟아서 소리를 낸다면 하르모늄은 손으로 여닫으며 마치 아코디언과 같이 소리를 내지요. 그렇기에 음색의 다양성이 떨어질 것만 같기도 합니다만, 하르모늄을 자유자재로 다루는분들을 보면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현대 인도에서는 시타르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악기중 하나입니다. 한번 하르모늄의 음색을 들어보시죠. 하르모늄 연주 하르모늄, 시타르, 사랑기, 타블라의 연주 같이 알면 좋은 악기2012/09/05 - [음악이야기/악기 이야기] - 세계의 악기 소개 (19) 시타르2012/09/05.. 더보기 내 악기 이야기; 어렵게 구했던, 봉고 내 악기 이야기어렵게 구했던, 봉고 저는 악기를 굉장히 좋아합니다. 조그마한 악기들이 내는 다양한 소리를 듣고 있자면, 정말 행복하지요. 그래서 여기저기서 돈을 저축해 여러 악기를 구매했는데요. 물론 학생이다보니 비싼 악기는 사지 못했지만, 나름대로 이쁜 소리를 내는 아이들이라 만족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봉고를 소개하려 합니다. 제가 악기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것은 타악기들입니다. 젬베나 드럼, 까혼같은 녀석들은 스트레스가 치밀어 오를 때 넋좋고 치면서 노래를 흥얼거리면 정말 좋지요. 그래서 처음에는 젬베를 구매했고, 그 다음에 봉고의 소리에 매혹되어 봉고를 사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던 중 중고나라에서 봉고를 하나 발견했습니다. REMO의 BG-7800-1S이었지요. 단종된 모델이고 플.. 더보기 세계의 악기 소개 (22) 반수리 세계의 악기 소개 (22)반수리 인도의 취주악기, 인도의 플룻, 반수리입니다. 휘슬과 거의 비슷한 구조를 가졌지요. 명상음악에 자주 쓰이는 악기인데, 하리 프사이드가 최고의 연주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반수리는 산스크리스트어로 '반'(대나무)과 '수리(멜로디)'가 합쳐진 언어라고 합니다. 대나무로 소리를 내는 악기라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단소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인도의 소리, 반수리가 들려주는 음악을 들어보시죠. 반수리 연주 다양한 악기와의 협연같이 알면 좋은 악기2012/09/05 - [음악이야기/악기 이야기] - 세계의 악기 소개 (19) 시타르2012/09/05 - [음악이야기/악기 이야기] - 세계의 악기 소개 (20) 타블라*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 더보기 세계의 악기 소개 (21) 사랑기 세계의 악기 소개 (21)사랑기 북인도, 네팔의 대중적인 악기인 사랑기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사랑'이란 말이 들어가서 예쁜 느낌이 드는 악기 중 하나입니다. 사실 사랑기라는 것은 힌두어에서 유래한 말로 '사'(백), '랑'(색)이 합쳐진 말로, 백가진 음색을 지닌 악기라는 뜻이랍니다. 나무를 깍아서 만들며 약 15여개의 현을 쓰지요. 원래는 무곡에서 쓰이는 악기였으나, 요즘에는 솔로 연주도 많이 하는 악기 입니다. 첼로와 비슷하게 잡고 켜는 악기인데요, 특유의 소리가 맑고 아름답습니다.사랑기 연주반수리와 타블라와의 협연 같이 알면 좋은 악기2012/09/05 - [음악이야기/악기 이야기] - 세계의 악기 소개 (19) 시타르2012/09/05 - [음악이야기/악기 이야기] - 세계의 악기 소개 (20).. 더보기 세계의 악기 소개 (20) 타블라 세계의 악기 소개 (20)타블라 이번에 보여드릴 악기는 인도의 타악기, 타블라입니다. 타블라는 위의 사진에서도 아실 수 있듯이 두조가 한 세트입니다. 왼쪽의 잘록한 녀석의 이름이 다이나이고, 오른쪽의 통통한 녀석이 바이나입니다. 다이나는 보통 나무로 통을 만들고, 바이나는 몸통이 깊은 가마솥 북으로 대개 구리나 점토, 나무로 만듭니다. 위에 올려진 동그란 쇠판이 배음을 내는데요, 바이나에선 이것을 움직여 소리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타블라는 빠르게 손가락으로 칩니다.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서 각양각색의 소리를 내지요. 맑고 경쾌하며 신나는 타블라의 소리는, 인도음악에서는 빠질 수 없는 약방의 감초입니다. 아시아 음악여행에 나온 타블라 현란한 타블라 솔로 연주 같이 알면 좋은 악기2012/09/05 - [.. 더보기 세계의 악기 소개 (19) 시타르 세계의 악기 소개 (19) 시타르 이번에 포스팅 할 악기는 인도의 전통악기인 시타르 입니다. 13세기부터 알려진 이 악기의 이름인 '시타르'는 페르시아어 '세타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3현'이라는 의미이지요. 말이 삼현이지, 이 악기는 총 26개의 현이 있습니다. 주현은 7개, 리듬현이 19개가 있지요. 20여개의 플랫을 가지고 있으며, 클래식 기타와 비슷한 자세로 연주합니다. 그러면 맨 아래에 달린 호롱박 통이 공명해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시타르와 타불라의 협연시타르 명상음악 같이 알면 좋은 악기2012/09/05 - [음악이야기/악기 이야기] - 세계의 악기 소개 (20) 타블라*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시간의 잡동사니의 문화 이야기]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더보기 세계의 악기 소개 (18) 훈 세계의 악기 소개 (18) 훈 이번에 소개해 드릴 악기는 중국의 오카리나, 훈입니다. 약 7천여년의 역사를 가졌다고 알려진 훈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취주악기이지요. 훈은 원래는 사냥도구였다고 합니다. 그때는 뼈나, 돌로 만든 둥근 훈을 던지거나, 나무에 끝에 묶어 무기로 썼지요. 그러다 속이 빈 훈에 우연히 입김을 불자, 신기한 소리가 났고, 그 뒤로 훈은 악기가 되었습니다.계란처럼 생긴 훈은 대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인 지와 함께 연주되었는데요. 황실에서 쓰이는 음악에 많이 등장했다고 합니다. 이런 훈은 현대의 개량을 거쳐 9지공, 10지공으로 연주됩니다. 훈의 청명한 소리를 들어 보시죠. 훈의 청명하고 아름다운 소리 훈과 피아노의 협주 훈의 운지법*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시간의 잡.. 더보기 세계의 악기 소개 (17) 마두금 세계의 악기 소개 (17) 마두금 몽골하면 생각나는 것이 바로 '말'아니겠습니까? 말에서 태어나 말에서 죽는다는 그들의 삶답게, 몽골의 대표적인 악기는 말의 꼬리로 만든 마두금입니다. 이 마두금에는 슬픈 전설이 있는데요, 제가 포스팅해 놓았으니 한 번 보시면 좋겠네요.2012/08/29 - [신화이야기] - 몽골악기 마두금은 어디서 왔나? 마두금의 기원마두금은 우리의 해금과 비슷한 악기인데요, 해금이나 얼후가 2현인 것처럼 마두금역시 2현 악기입니다. 마두금은 몽골의 일상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악기입니다. 몽골의 드넓은 초원을 방황하는 유목민들의 기상을 담은 마두금은 '초원의 첼로, 초원의 바이올린'이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음색을 내지요. UNESCO에서도 보호해야 할 문화로 지정했고, 첼리스트 요요..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