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이야기

문학이론의 전개과정(3) 문학이란 무엇일까? 문학의 기원; 제의적 기원설

문학이론의 전개과정(3)

문학이란 무엇일까?

문학의 기원; 제의적 기원설 


 저번 포스팅들에서 문학의 기원을 찾아 인간의 심리를 살펴보고, 사회적으로도 살펴보았습니다. 예술의 기원, 문학의 기원을 찾는 일은 결코 쉽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저번의 두 포스팅과는 다른 관점의 재미있는 이론을 살펴보려 합니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만들어 놓은 수많은 것들도 다 과거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인데요. 문학역시 그렇지 않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기지 않으신가요? 이런 맥락의 이론이 있으니, 바로 제의적 기원설, 다른 말로는 발라드 댄스론 입니다.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축제를 아시나요? 행렬로 축제를 시작하고 행렬이 끝난 후에는 디오니소스를 찬양하는 합창과 비극, 희극을 공연하는 디오니소스 축제는 현대의 올림픽에 비길 만큼 성대하게 거행되었습니다. 여기서 수많은 작품들이 발표되었지요.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가 모두 이 축제에서 작품을 발표해 큰 호응을 얻은 작가들입니다. 

 제의적 기원설의 골자는 이렇게 문학의 기원을 고대의 종교적인 제의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무당을 생각하면 쉬우실 텐데요, 고대의 제의는  시와 춤과 노래가 한데 어우러진 원시적인 가무가 행해졌습니다. 굿을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이런 원시적인 가무(발라드 댄스)에서 문학과 예술이 발전했다는 것입니다. 

제의는 시, 춤, 노래 모두가 결합된 종합예술이었습니다.

 원래는 발라드댄스 처럼 미분화된 원시종합예술 형태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원시적인 가무 속에 들어 있던 언어는 문학으로 소리는 음악으로 몸짓은 무용으로 분화되었다는 것이지요. 원시 문학 형태의 발전 단계로서 처음에는 문자로 정착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런 것을 "유동문학"이라 하고, 문자발명 이후 문자로 정착된 형태를 "정착문학"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로서는 거의 통설로 정착된 학설입니다.

龜何龜何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  머리를 내놓아라

若不現也  머리를 내놓지 않으면

燔灼而喫也  구워서 먹으리 

-구지가 

 한번쯤은 보셨을 <구지가>입니다. 가야의 수로왕과 관련된 배경 설화가 있는 노래이지요. 이 노래를 보면 군신을 맞이하려는 실제적 목적과 가무를 즐기려는 심미성이 함께 작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발라드댄스는 실용성과 심미성이 동시에 작용하였다 할 것이다. 그리고 당시에는 축제였을 구지가가 현재는 정착문학이 되어있는 것도 흥미롭지요.

 지금까지 문학의 기원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세 이론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어떤 이론이 가장 문학의 기원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지, 직접 한번 생각을 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시간의 잡동사니의 문화 이야기]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