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론의 전개과정(4)

문학이론의 전개

모방론


 저번 포스팅까지 문학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문학의 이론의 전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금까지 문학이 어디서 왔는가? 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면, 지금부터는 문학이란 무엇인가? 를 살펴 보려는 것이지요.

원자론으로 유명하신 데미크리토스옹

 거의 대부분의 사상이 그렇듯, 문학이론 역시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데모크리토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간은 가장 중요한 기능을 동물에게서 배운다. 예컨대 거미로부터 천짜는 법을, 백조와 밤꾀꼬리로부터는 모방의 방식에 기초한 노래를 배운다.” -데모크리토스

 이렇듯, 그의 생각은 명백했습니다. 예술은 곧 자연을 모방한 것이었지요. 그에게는 사람의 노래는 새의 노랫소리를 모방한 것이었습니다. 이런 '모방'은 그리스어로는 '마메시스'라고 하는데, 서양의 미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됩니다. 

 데모크리토스의 '모방'은 그 전까지의 '모방'과는 다른 개념이었습니다. 모방(마메시스)의 어원인 '미무스'는 제사행위를 의미하는 단어였지요. 즉, 데모크리토스의 전의 모방이라는 개념은 단지 인간의 내면의 격렬한 감정을 밖으로 모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데모크리토스의 모방은 외면의 다양한 자연물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상이 변화하였지요.

서양 철학의 아버지, 소크라테스옹

 하지만, 이 시기 데모크리토스와는 다른 '모방'의 개념을 가진 사람이 있었으니, 서양 사상의 원조격 되시는 소크라테스 할아버지 되겠습니다. 데미크리토스의 모방론이 '자연이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모방이라면, 소크라테스의 모방론은 '자연 사물에 대한 외관'에 대한 모방이지요. 

소크라테스는 미학적인 범주를 적어도 세 가지로 나누었다. 그 세 범주는 부분의 조립을 통해 자연을 표현하는 '이상적인 미', 시선을 통해 영혼을 표현하는 '정신적인 미', 그리고 '유용한(혹은 기능적인) 미'이다.

-강정인. 소크라테스, 악법도 법인가?. 문학과 지성사. 

소크라테스의 이런 사상은 그대로 그의 제자인 플라톤과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흘러 들어갑니다. 하지만, 위대한 두 철학자는 '모방'에서의 '본질'과 '현상'간의 관계에 대해 다른 의견을 보입니다. 

키 2미터에 레슬링과 복싱을 즐겨하고 성질은 불 같은 지상 최강의 학자, 플라톤옹

 플라톤은 사실 예술에 대해 좋게 생각하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아래 텍스트를 보시면 아실 수 있을 거에요.

"만일 자신의 뛰어난 재주로 많은 사람이 될 수도 있으며 모든 것들을 모방할 수 있는 사람이 우리의 도시로 와서 자신의 시를 낭송하는 공연을 개최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그가 성스럽고 놀라우며 달콤한 사람임에 정중하게 예를 표해야 하지만, 그에게 우리의 도시에는 그러한 사람이 없으며 그러한 사람이 있다는 것은 적법하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야 한다. 우리는 그의 머리에 몰약을 붓고 화관을 씌운 후, 다른 도시로 보내 버릴 것이다." 

-플라톤 <국가론> 국가편

 이렇게 플라톤이 예술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닌 이유는 명백합니다. 플라톤의 가장 기본적인 사상은 '이데아론'입니다. 이데아는 시공을 초월하는 하나의 '개념'이지요. 현실에 존재하는 것들은 모두 이 이데아를 모방한 것입니다. 그런데 예술은 또다시 이데아를 모방하는 것들을 모방하지요. 

 원래 현실에 있는 것들에서 이데아를 끌어내기도 쉬운 작업이 아닌데, 거기다가 또 한번 모방을 가한다니, 플라톤에게는 예술이 사람들을 진리에서 멀어지게 하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게다가 예술에는 주관이 들어가니, 진리에서는 삼천만광년쯤 떨어진 것이라고 생각했지요. 결국 그는 자신의 이상국가에서 예술가들을 추방하고 맙니다.

하지만 다음 글을 보시죠. 똑같은 <국가론>의 이야기입니다.

"(시인이나 비극 작가인) 그들 중 몇몇이 우리에게 와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고 해보자. '여러분, 우리가 여러분의 나라로 들어가도 됩니까? 그리고 우리의 작품을 함께 가지고 가도 될까요? ...' 영감으로 충만한 이 천재들에게 할 수 있는 우리의 올바른 대답은 무엇일까? 내 생각엔, 다음과 같을 것이다. '... 우리의 나라 전체는 가장 훌륭하고 고귀한 삶을 모방하도록 건설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동일한 장르를 짓는 당신들과 같은 시인입니다. ... 그러니 우리가 분별없이 당신들을 시장바닥의 무대에 올릴 것이라고 생각하여 달아나지 마십시오."

-플라톤 <국가론> 법률편

여전히 아주 우호적인 태도는 아니지만, 훨씬 개선되었지요. 들어오게는 해 준다니 말입니다. 이 예술가의 귀환에 대해 생각해보기 전에 먼저 <법률편>에 나오는 플라톤의 쾌락에 대한 관점을 알아야 합니다. 

 플라톤은  적절한 쾌락과 부적절한 쾌락, 그리고 단순한쾌락으로 쾌락을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합니다. 쾌락의 분류는 나이가 많고 지혜로운 사람이 해야 한다고 하지요.  적절한 쾌락과 단순한 쾌락은 예술이 즐거움뿐만 아니라 도시와 인간의 삶에 유용함까지도 제공하기 때문에, 플라톤은 예술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부적절한 쾌락이 있기 때문에 플라톤은 예술 작품에 대한 검열의 필요성 또한 역설합니다.

"이제 우리는 당신들(매혹적인 뮤즈의 아들들)에게 전적인 자유를 허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당신들의 연극을 엄정하게 검열할 것이며, 우리가 인정한 것만을 장려할 것이며 그렇지 못한 것은 금지할 것이다." 

-플라톤 <국가론> 법률편

 플라톤의 이러한 사상의 변화는 쾌락에 대한 그의 태도변화와 연결됩니다. 예술이 주는 쾌락이 질이 좋은 경우에는 부정하지 않겠다는 것이지요. 그러나 여전히 예술은 모방에 불과하며, 언제든지 검열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방'으로서의 예술을 보는 그의 시각은 건재합니다.

 이러한 그의 태도와는 사뭇 다르게, 예술에 대해 긍정적으로 접근하려고 시도한 이는 다름아닌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 였습니다. 아리스토 텔레스의 모방론과, 효용론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시간의 잡동사니의 문화 이야기]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 Recent posts